숲속으로

[스크랩] 생물계절(Phenology)과 다양성 변화

nagne109 2014. 3. 22. 07:36

생물계절(Phenology)과 다양성 변화

 


 변화하면 나무에서 잎이 나오는 시기가 빨라지고 꽃이 피는 시기도 앞당겨집니다.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한 온대지역을 관찰해 보면, 대체로 평균기온 1℃가 상승할 때, 개화시기가 약 5~7일정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나비류와 같은 곤충류의 발생시기가 앞당겨지고, 1년 동안 발생하는 횟수도 달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에는 양서류, 조류 및 포유류에 해당하는 야생동물들의 생물학적인 행동 시기가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해서도 관찰하고 있습니다.

 

영국에서의 예로, 양서류가 17년 동안 연평균기온이 1℃ 상승함에 따라 연못에 출현한 시기가 9일 내지 10일 정도 빨라졌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Beebee, 1995). 그리고 조류의 부화일수가 25년 사이에 9일 가량 줄어든 경우(Crick et al., 1997) 등도 알려지고 있습니다.


야생동물의 경우, 기상조건보다는 서식지가 달라지거나 먹이자원(식물과 곤충 등)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생태계는 생산자와 소비자 및 분해자가 상호 관련되어 먹이사슬을 이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식생대가 달라지고 식물과 곤충 등의 계절적 특성이 변화하면 야생동물의 행동 특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게다가 생물 종별로 기후에 대한 반응이 다르고 잎이 나오고 곤충이 변태하는 것과 같은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기온 이외의 것도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차이들로 인하여 먹이사슬과 생물다양성이 훼손될 수 있습니다.

 

 

 

 

 

산림청의 소리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공감이 되셨다면 VIEW를! 가져가고 싶은 정보라면 스크랩을! 나도 한 마디를 원하시면 댓글을!
여러분의 의견을 모아서 정책에 반영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Follow me 친해지면좋아요^^

출처 : 산림청 대표 블로그 "푸르미의 산림이야기"
글쓴이 : 산림청 원글보기
메모 :